작업소는 곤충, 해충이나 쥐를 막을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고 정기적으로 점검 및 확인하여야 한다. 제조, 관리 및 보관 구역 내의 바닥, 벽, 천장 및 창문은 항상 청결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제조 시설이나 설비의 세척에 사용되는 세제 또는 소독제는 효능이 입증된 것을 사용하고 잔류하거나 적용하는 표면에 이상을 초래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제조 시설이나 설비는 적절한 방법으로 청소하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 위생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여야 한다. 곤충, 해충이나 쥐를 막기 위해서는 벌레가 좋아하는 것을 제거하고 빛이 밖으로 새어 나가지 않게 해야 한다. 벽, 천장, 창문, 파이프 구멍에 틈이 없도록 하며 개방할 수 있는 창문을 만들지 않아야 한다. 창문은 차광하고 야간에 빛이 밖으로 새어 나가지 않게 해야 하며 배기구, 흡기구에 필터를 달아야 한다. 폐수구에 트랩을 달고 문하부에는 스커트를 설치한다. 골판지, 나무 부스러기를 방치하지 않고(벌레의 집이 된다) 실내압을 외부보다 높게 한다. (공기조화장치) 청소와 정리 정돈을 하며 해충, 곤충의 조사과 구제를 실시하여야 한다. 위생 프로그램이 건물 안의 모든 공간에서 이용할 수 있어야 하는데, 공조 시스템에 사용된 필터는 규정에 의해 청소되거나 교체되어야 한다. 물질 또는 제품 필터들은 규정에 의해 청소되거나 교체되어야 한다. 물 또는 제품의 모든 유출과 고인 곳 그리고 파손된 용기는 지체 없이 청소 또는 제거되어야 한다. 제조 공정 또는 포장과 관련되는 지역에서의 청소와 관련된 활동이 기류에 의한 오염을 유발해 제품 품질에 위해를 끼칠 것 같은 경우에는 작업 동안에 해서는 안 된다. 청소에 사용되는 용구는 정돈된 방법으로 깨끗하고, 건조된 지정된 장소에 보관되어야 한다. 오물이 묻은 걸레는 사용 후에 버리거나 세탁해야 한다. 오물이 묻은 유니폼은 세탁될 때까지 적당한 컨테이너에 보관되어야 한다. 제조 공정과 포장에 사용한 설비 그리고 도구들은 세척해야 한다. 적절한 때에 도구들은 계획과 절차에 따라 위생 처리되어야 하고 기록되어야 한다. 적절한 방법으로 보관되어야 하고, 청결을 보증하기 위해 사용 전 검사되어야 한다. 제조 공정과 포장 지역에서 재료의 운송을 위해 사용된 기구는 필요할 때 청소되고 위생 처리되어야 하며, 작업은 적절하게 기록되어야 한다. 제조 공장을 깨끗하고 정돈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할 때 청소가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한 직무를 수행하는 모든 사람은 적절하게 교육되어야 한다. 천장, 머리 위의 파이프, 기타 작업 지역은 필요할 때 모니터링 하여 청소되어야 한다. 제품 또는 원료가 노출되는 제조 공정, 포장 또는 보관 구역에서의 공사 또는 유지 관리 보수 활동은 제품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적합하게 처리되어야 한다. 제조 공장의 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먼지, 이물 등을 묻혀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의하여야 한다. 적절한 청소와 위생 처리 프로그램이 모든 설비를 위해 준비되어야 한다. 청소와 세제와 소독제는 확인되고 효과적이어야 한다. 모든 세제와 소독제는 적절한 라벨을 통해 명확하게 확인되어야 하고 원료, 포장재 또는 제품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적절히 선정, 보관, 관리 및 사용되어야 한다. 같은 제품의 연속적인 뱃치의 생산 또는 지속적인 생산에 할당받은 설비가 있는 곳의 생산 작동을 위해 설비는 적절한 간격을 두고 세척되어야 한다. 설비는 적절히 세척을 해야 한다. 필요할 때는 소독을 해야 한다. 설비의 세척은 제조하는 화장품의 종류, 양, 품질에 따라 변화한다. 세척의 종류를 잘 이해하고 자사의 설비 세척의 원칙에 따라 세척하고, 판정하고 그 기록을 남겨야 한다. 제조하는 제품의 전환 시뿐만 아니라 연속해서 제조하고 있을 때도 적절한 주기로 제조 설비를 세척해야 한다. 언제 어떻게 설비를 세척하는 지의 판단은 생산 책임자의 중요한 책무다. 설비의 세척에는 많은 종류가 있다. 세척 대상 물질 및 세척 대상 설비에 따라 적절한 세척을 실시해야 한다. 그리고 세척에는 확인이 따르게 마련이다. 제조 작업자뿐만 아니라 화장품 제조에 관련된 전원이 세척을 잘 이해해야 한다. 물 또는 증기만으로 세척할 수 있으면 가장 좋다. 브러시 등의 세척 기구를 적절히 사용해서 세척하는 것도 좋다. 세제를 사용한 설비 세척은 권장하지 않는데 세제는 설비 내벽에 남기 쉽고 잔존한 세척제는 제품에 악영향을 미치며 세제가 잔존하고 있지 않은 것을 설명하기에는 고도의 화학 분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쉽게 물로 제거하도록 설계된 세제라도 세제 사용 후에는 문질러서 지우거나 세차게 흐르는 물로 헹구지 않으면 세제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 세제로 손을 씻었을 때, 손을 충분히 헹구지 않으면 세제의 미끈미끈한 느낌은 제거되지 않을 것이다. 세제로 제조 설비를 세척했을 때 설비 구석에 남은 세제를 간단히 제거할 수 있을까?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보다 더 좋은 것은 없다. 세제를 어쩔 수 없이 사용해야 할 경우, 화장품 제조 설비의 세척용으로 적당한 세제를 사용한다. 부품을 분해할 수 있는 설비는 분해해서 세척한다. 그리고 세척 후는 반드시 미리 정한 규칙에 따라 세척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후의 설비는 건조 시키고, 밀폐해서 보존한다. 설비 세척의 유효 기간을 설정해 놓고 유효 기간이 지난 설비는 재 세척해서 사용한다. 유효 기간은 설비의 종류와 보존 상태에 따라 변하므로 설비마다 실적을 토대로 설정한다. 설비 세척의 원칙을 반드시 마련해 놓고 작업자의 독자적인 판단에 맡기는 화장품 설비 세척을 해서는 절대 안 된다.
'화장품이야기 > 화장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장품 포장재 개요 (0) | 2022.07.04 |
---|---|
유지 관리 (0) | 2022.06.23 |
건물과 시설 (0) | 2022.06.16 |
인적 자원 (0) | 2022.06.15 |
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용어의 정의 (0) | 2022.06.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