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발의 구성 성분으로는 모발 무게의 85~90%를 차지하는 모피질과 모수질이 있으며 모피질에는 피질 세포, 케라틴, 멜라닌이 존재한다. 멜라닌은 티로신으로부터 만들어지는데 검정색과 갈색을 나타내는 유멜라닌과 빨간색과 금발을 나타내는 페오멜라닌으로 분류되며 모발의 색은 유멜라닌과 페오멜라닌의 구성비에 의해 결정된다. 케라틴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인 시스틴에 있는 디설파이드 결합에 의해 모발 형태와 웨이브가 결정된다. 환원제를 사용하여 결합을 절단한 후에 산화제를 이용하여 디설파이드 결합을 재구성하여 모발의 모양이나 웨이브 정도를 결정하게 된다. 모발의 바깥쪽은 모소피가 5도 경사로 모발의 뿌리까지 덮어서 모피질을 보호하며 케라틴이 모소피의 주요 성분이다. 모발은 모근과 모간으로 분리되며 모근에는 모유두, 모모세포, 색소세포, 모세혈관이 있는 모구가 위치하고 있다. 모유두는 모구 아래쪽에 위치하며 작은 말발굽 모양으로 모발 성장을 위해 영양분을 공급해 주는 혈관과 신경이 몰려있다. 모모세포는 모유두를 덮고 있으며 모유두로부터 영양을 공급받아 세포 분열하여 모발을 만든다. 모간은 모수질과 모피질로 구성된다. 모발 성장주기는 초기 성장기,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로 구성된다. 성장기는 모발의 구성하는 세포의 성장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퇴행기에는 성장이 감소하고 모구 주위에 상피 세포가 죽게 되며 휴지기에는 모낭이 위축되고 성장이 멈춘다. 모발은 초기 성장기를 거쳐 성장기(5~6년, 전체 모발의 86~88%), 퇴행기(2~3주, 1%), 휴지기(2~3개월, 10~15%)를 지나 빠지게 되는데 탈모 환자는 성장기가 3~4개월로 감소하고 휴지기가 증가하여 있어 전체 모발 중 휴지기에 있는 모발의 수가 많다. 일반적으로 성인에서 탈모 되는 양은 약 40~70개/일 이며 병적인 탈모는 120개 이상/일이다. 남성형 탈모는 탈모의 가장 흔한 형태로 테스토스테론인 남성 호르몬이 5알파-환원 효소에 의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바뀌고 이 물질이 모낭을 위축시켜 모발의 두께를 가늘게 하고 모발이 자라는 기간을 단축 시킨다. 탈모의 유전적인 요인 이외의 스트레스에 의한 탈모도 발생하고 있으며 탈모 치료제로 미녹시딜, 피나스테이드, 두나스테리드가 사용되고 있다. 미녹시딜은 두피의 말초혈관을 확장시켜 모발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영양분이 원활히 공급되도록 돕는다. 화장품에서는 덱스판테놀, 비오틴, 엘-멘톨, 징크피리치온이 탈모 방지 기능성 화장품에서 주성분으로 사용된다. 비듬은 표피 세포의 각질화에 의해 떨어져 나온 조각으로 피지나 땀, 먼지 등이 붙어 있다. 비듬의 발생 빈도는 성별이나 계절, 연령 등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피부를 보이며 피부를 건조해지기 쉬운 겨울에 비듬 발생이 쉽다. 성별로 볼 때, 남성이 압도적으로 비듬의 양이 많아 여성의 3배 정도 된다. 비듬이 심해지면 탈모의 원인이 되며 비듬 원인균은 말라세시아 라는 진균이다. 이 진균들은 두피에 상재 하면서 모낭에서 분비되는 피지를 먹고 배설물을 분비하는데 배설물을 분비하는데 배설물 중의 지방산이 두피의 피부 재생 주기를 비정상적으로 촉진 시킨다. 그래서 피부 재생 주기가 7~21일로 단축되어 세포들이 미성숙된 상태로 표피 바깥에 도달하여 덩어리 형태로 두피에서 떨어져 나가게 된다. 비듬 치료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화장품 주성분은 징크피리치온, 피록톤올아민, 살리실릭애씨드 등이 있다. 맞춤형 화장품의 조제를 위해서는 고객의 피부 타입에 적합한 화장품 내용물과 원료를 선택해야 하며, 이 선택을 기기를 사용한 피부 측정과 피부 타입 파악을 위한 문진이 이루어진다. 건성은 피지와 땀의 분비가 적어서 피부 표면이 건조하고 윤기가 없으며 피부 노화에 따라 피지와 땀의 분비량이 감소하여 더 건조해지는 피부이다. 또한 잔주름이 생기기 쉬운 피부로 피부의 수분량이 부족하다. 지성은 피지의 분비량이 많아 얼굴이 번들거리고 모공이 넓으며 피지 분비량이 많은 T존(이마, 코 주위)에 검은 여드름이 생긴다. 일반적으로 천연 피지막이 잘 형성되어 피부가 촉촉하다. 복합성은 지성과 건성이 함께 존재하는 피부 타입으로 피지 분비량이 많은 T존과 피지 분비량이 적은 U존이 존재하여 T존은 번들거리고 여드름이 있으며, U존(양볼, 입 주위, 눈 주위)은 수분이 부족하여 건조하다. 중성은 피지와 땀의 분비 활동이 정상적인 피부로 피부 생리 기능이 정상적이며 피부가 깨끗하고 표면이 매끄럽다. 피부에 탄력이 있어 혈색이 있고 모공도 눈에 띄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수분, 유분, 수분 증발량, 멜라닌양, 홍반량, 색상, 민감도 드을 측정하여 피부 상태를 평가한다. 측정 시, 측정이 이루어지는 공간은 항온항습이고 동일한 조도로 공기의 이동이 없고 직사광선이 없는 것이 좋다. 또한 측정 전에 피부 안정 시간을 가진다. 멜라닌양, 홍반량, 피부 색상은 세안 등을 통해 메이크업을 지운 후에 측정해야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수분, 유분, 수분 증발량은 피부에 특별한 조치를 하지 않고 그대로 측정하며 측정 시간과 측정값을 함께 남긴다. 측정은 3회 이상하여 그 평균값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며 측정 후에 프로브는 소독제로 소독하여 보관한다. 얼굴은 주로 T존과 U존을 측정하고 손등과 두피 등 필요한 피부 부위를 측정한다. 피부 수분은 전기 전도도를 통해 피부의 수분량을 측정하며 피부 탄력도는 피부에 음압을 가했다가 원래 상태로 회복되는 정도를 측정한다.
'화장품이야기 > 화장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장품 표시 사항 (0) | 2022.05.29 |
---|---|
관능 평가 방법과 절차 (0) | 2022.05.29 |
피부 및 모발 생리 구조 (0) | 2022.05.26 |
맞춤형 화장품의 개요 (0) | 2022.05.25 |
입출고 및 보관관리 (0) | 2022.05.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