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비 및 기구 위생을 위한 관리 또한 필요하다. 세척은 제품 잔류물과 흙, 먼지, 기름때 등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과정이며 소독은 오염 미생물 수를 허용 수준 이하로 감소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절차이다. 화장품 제조를 위해 제조 설비의 세척과 소독은 문서화 된 절차에 따라 수행하고 세척 기록은 잘 보관해야 하며 세척 및 소독된 모든 장비는 건조 시켜 보관하는 것이 제조 설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세척과 소독 주기는 주어진 환경에서 수행된 작업의 종류에 따라 결정한다. 세척 완료 후, 세척 상태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세척 완료 라벨을 설비에 부착한다. 만약 세척 유효 기간이 경과하면 재 세척을 실시한다. 설비 세척은 위험성이 없는 용제(물이 최적)로 세척한다. 가능한 한 세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세제(계면활성제)를 사용할 경우 세제는 설비 내벽에 남기 쉽고 잔존한 세척제는 제품에 악영향을 미치며 세제가 잔존하고 있지 않은 것을 설명하기에는 고도의 화학 분석이 필요하다는 위험성이 있다. 증기 세척을 권장하며 브러시 등으로 문질러 지우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분해할 수 있는 설비는 분해해서 세척하고 세척 후에는 반드시 '판정'해야 한다. 판정 후의 설비는 건조 및 밀폐하여 보존하며 세척의 유효 기간을 정하고 세척 후에는 세척 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를 해야 한다. 제조, 충진에 사용되는 교반기, 호모 믹서, 혼합기, 디스퍼, 충전기 등은 스테인레스 스틸 #306 또는 #316 재질을 사용한다. 칭량, 혼합, 소분 등에 사용되는 기구는 이물이 발생하지 않고 원료 및 내용물과 반응성이 없는 스테인레스 스틸 혹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며 유리 재질의 기구는 파손에 의한 이물 발생의 우려가 있어 권장되지 않는다. 교반기의 종류는 교반기 설치 위치에 따라 아지믹서, 측면형 교반기, 저면형 교반기가 있고 회전 날개의 종료에 따라 프로펠러형과 임펠러형으로 나누고 있다. 프로펠러형 믹서는 디스퍼라고도 한다. 교반기의 회전 속도는 240~3,600rpm으로 화장품 제조에서 분산 공정의 특성에 맞게 선택해 사용하고 있다. 교반의 목적, 액의 비중, 점도의 성질, 혼합 상태, 혼합 시간 등을 고려하여 교반기를 편심 설치하거나 중심 설치를 한다. 호모 믹서는 터빈형의 날개를 원통으로 둘러싼 구조이며 통 속에서 대류가 일어나도록 설계되어 균일하고 미세한 유화 입자가 형성된다. 고정된 고정자와 고속 회전이 가능한 운동자 사이의 간격으로 내용물이 대류 현상으로 통과되며 강한 전단력을 받는다. 즉 전단력, 충격 및 대류에 의해서 균일하고 미세한 유화 입자를 얻을 수 있다. 진공 유화기는 밀폐된 진공 상태의 유화 탱크에 유상 원료가 자동 주입된 후 교반 속도, 온도 조절, 시간 조절, 탈포, 냉각 등이 컨트롤 패널로 자동 조작이 가능한 장치이다. 호모 믹서와 패들 믹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장치이다. 초음파 유화기는 초음파 발생 장치로부터 나오는 초음파를 시료에 조사하는 방법과 진동이 있는 관 내부로 시료를 흘려보낼 때 초음파가 발생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나노 분산, 혼합물 용해 및 추출 등에 사용되며 균질화 및 유화에 사용된다. 기타 유화 장치로 리포좀이나 나노 에멀젼 제조에 사용되는 고압 호모게나이저와 콜로이드밀, 초음파 유화기 등이 있다. 혼합기는 회전형과 고정형으로 나뉜다. 회전형은 용기 자체가 회전하는 것으로 원통형, 이중 원추형, 정 입방형, 피라미드형, V-형 등이 있으며 고정형은 용기가 고정되어 있고, 내부에서 스크루형, 리본형 등의 교반 장치가 회전한다. V-형 혼합기는 드럼의 회전에 의해 드럼 내부의 혼합물은 연속적으로 세분화하여 혼합이 이루어지며 가장 균질한 혼합이 이루어진다. 드럼 내부에 교반봉이나 노즐을 부착한 혼합기도 있다. 리본믹서는 고정 드럼 내부에 이중의 리본 타입의 교반 날개가 있고 외측의 분립체는 중앙으로, 내측의 리본은 외측 방향으로 이송하는 것에 의해 대류, 확산 및 전단 작용을 반복하여 혼합이 이루어진다. 분쇄 공정은 혼합 공정에서 예비 혼합된 분체 입자를 분쇄기에 의해 분체의 응집을 풀고, 크기를 완전히 균일하게 분쇄하는 작업 과정이다. 분쇄기로 아토마이저, 헨셀믹서, 비드밀과 제트밀이 널리 사용된다. 롤러는 3단 형태의 3롤 밀이 주로 사용되며 분체나 슬러리상 내용물을 분산, 분쇄하는데 사용되며, 립스틱의 컬러 베이스를 제조할 때 주로 이용된다. 제조설비는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그 기록을 보관하여야 하며 수리 내역 및 부품 등의 교체 이력을 설비 이력 대장에 기록한다. 직접적인 제조 시설은 아니지만 제조를 지원하는 시설인 정제수 제조 장치, 압축 공기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에 대하여도 주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한다. 제조 탱크는 내부의 세척 상태 및 건조 상태를 점검해야 하며 저장태크는 내부의 세척 상태 및 건조 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회전 기기는 세척 상태 및 작동 유무, 윤활 오일 게이지 표시 유무와 비상 정지 스위치를 점검해야 한다. 밸브는 밸브의 원활한 개폐 유무를 점검하며 공조기는 필터 압력과 송풍기 운전 상태 , 진동 유무를 점검해야 한다. 설비 점검 시 누유, 누수, 밸브 미작동 등이 발견되면 설비 사용을 금지 시키고 점검 중 표시해야 한다. 정밀 점검 후에 수리가 불가한 경우에는 설비를 폐기하고 폐기 전까지 유휴 설비 표시를 하여 설비가 사용되는 것을 방지한다. 오염된 기구나 일부가 파손된 기구는 폐기하며 플라스틱 재질의 기구는 주기적으로 교체하는 것이 권장된다.
'화장품이야기 > 화장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춤형 화장품의 개요 (0) | 2022.05.25 |
---|---|
입출고 및 보관관리 (0) | 2022.05.25 |
작업자 위생관리 (0) | 2022.05.24 |
작업장 위생관리 (0) | 2022.05.24 |
품질보증 (0) | 2022.05.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