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용기는 성형 방법, 디자인 형상, 내용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그에 따른 다양한 분류가 가능하다. 최근엔 각 용기의 장점들을 결합하는 시도가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1. 일반용기&캡
- 보틀형 : 스킨, 로션, 코오롱, 샴푸, 린스, 선오일
- Jar 형 : 크림, 헤어 왁스, 포마드
2. 튜브 : 치약, 클렌징폼, 선크림, 기능성 에센스, 염모제
3. 팩트 류 : 트윈케이크, 아이섀도, 립파레트, 파운데이션
4. 브러쉬 도포 용기 :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네일
5. 립스틱 : 립스틱, 데오드란트, 왁스, 컨실러
6. 펌프(디스펜서) : 에센스, 로션, 향수, 샴푸, 린스,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7. 파우치 : 세제, 리필 용기, 패치류, 견본류
8. 에어로졸 캔 : 무슨, 스프레이, 데오드란트
9. 화장 용구 : 퍼프, 브러쉬, 아이섀도 팁
10. 기타 포장재 : 롤온, 펜슬
화장품 용기는 과학 기술의 진보와 함께 이용되는 소재 및 가공 방법도 변화하고 있다. 일례로 유리 용기는 그 내용물 보호성, 투명성 면에서 지금까지 널리 이용되었다. 그러나 가공하기 쉬운 플라스틱이 개발되면서 다양한 장점으로 화장품 포장재에 있어 현재는 유리 용기보다 사용량이 월등히 많게 되었다. 이같이 새로운 소재, 가공 방법이 개발되고 응용되어서 지금까지 불가능했던 새로운 용기 형태, 사용감을 지닌 화장품 용기, 화장 용구 등에 응용되어 나갈 것이다. 또한 지구 환경의 보전을 위하여 범세계적인 노력이 이루어지면서, 화장품 업계에도 지구 환경 보전, 자원 절약, 자원의 재이용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이미 실시하고 있는 에어로졸의 분사제 프레온 가스의 대체화를 포함하여, 용기의 사용 수지량 감소 및 연소 시 유독 가스를 발생하는 수지(PVC 등)의 대체화 등 환경 보전에 적극적인 대응을 하고 있다.
※화장품 용기 재질별 특징
1. PE
- LDPE(soft), HDPE(hard)
- 연신성, 내화학성(알코올, 산, 알칼리) 우수
- 향, 탄화수소 오일에 약함->Swelling(부푸는 현상) 발생
- 캡, 용기 패킹, 대용량 용기, 토들 용기, 튜브 제품에 활용
2. PP
- 광택성, 내화학성(알코올, 산, 알칼리) 우수
- Hinge(꺾임부) 특성 우수
- 가격 싸고 다양한 물성 보유
- 캡, 용기, 내용물 접촉 부품, 힌지 부품, 반투명/불투명 용기에 활용
3. AS
- 투명성, 후가공성 양호
- 초음파 융착성 우수
- 투명/고광택 용기, 메이크업 케이스, 크림 용기에 활용
4. ABS
- 사출 성형성, 후가공성(도금, 증착, 코팅) 우수
- 내내용물성 취약
- 각종 장식, 케이스 용기, 불투명/반투명 용기에 활용
5. PS
- 투명성 우수
- 내스크레치성, 내약품성, 내충격성 취약
- 사출 고투명, 고광택 케이스 용기에 활용
6. PMMA(아크릴)
- 투명성, 내스크레치성, 후육성형성 우수
- 내화학성 취약(내용물과 접촉 주의)
- 장식, 두꺼운 용기에 활용
7. PET
- 투명성, 충격성, 연신성, 내열성, 내화학성 우수
- 대량 생산용에 적합하며 시설 투자비가 고가임
- 디자인 제한적(R부), 후가공성 취약
- 대량 생산 용기, 광택, 투명 용기에 활용
8. NYLON
- 고광택, 인성(질김)이 좋음
- 사출 전 재료 건조가 중요
- 사출 케이스 용기, 불투명/고광택 용기에 활용
9. POM
- 내마모성, 피로 특성 우수
- 내화학성 우수
- 사출 반복 작동 부품에 유리함
10. SURLYN
- 투명성, soft 함, 인장성, 부식 효과 우수
- 내화학성(알코올)에 경시 변화 발생
- 후가공성(인쇄, 박) 취약
- 두껍고 투명, 고광택, 부식감 용기 및 토틀 용기에 활용
11. PETG
- 투명성, 성형성(모서리 R), 후가공성 우수
- PET 대비 소량 생산용(초기 투자비가 적음)
- 알코올에 취약, 충격에 약함
- Blow 금형, 광택 및 투명 용기에 활용
12. PCTA/PCTG
- 광택, 투명성, 연신성, 성형성, 충격성, 내스크레치성 우수
- 고가이나 생산성 취약
- 케이스 용기, 오버캡, 고투명, 고광택 용기 활용
13. 유리(초자)
- 고투명성, 재활용성, 내약품/화학성, 성형성, 절연성, 위생성, 차단성 우수
- 고 중량감 있음
- 내충격성 취약
- 스킨, 로션, 크림, 향수, 투명/반투명 용기 활용
14. 금속
- 성형성, 재활용성, 질감성, 고광택성
- 고가, 내충격성 취약, 후가공성의 제약
- 접착제 시 고온 상태의 분리 가능성 존재
- 장식류(명판, 숄더) 케이스 용기, 고광택이며 불투명한 용기 활용
이러한 화장품 포장재를 개발하려면 시장조사를 통해 제품 개발을 결정해야 한다. 디자인 컨셉을 결정하고 아이디어 스케치를 통해 용기와 그래픽을 디자인한다. 외관, 구조, 치수를 결정하고 사용성, 작동 방법을 결정하는 용기 설계를 진행하며 이와 함께 포장 적합성을 검토하며 포장 모듈을 설계한다. 포장재 제작 방식을 검토하고 금형 구조를 결정하여 금형을 제작한 후 시제품 생산을 거치게 되고 규격, 기능, 색상 등을 검토하여 금형을 조정한다. 최종 기능과 사용성을 검증하고 내용물과 포장재 상용성을 검토하면서 신뢰성을 확인한다. 이렇게 포장재 TEST를 마치면 포장재를 생산하게 되는데 설정된 표준을 기준으로 포장재 생산이 이루어지며 검사를 진행하게 된다. 이후 입고하여 포장에 사용하는 것이 전체적인 포장재 개발의 Flow라 볼 수 있다.
화장품 용기 설계 시에는 디자인, 기능성, 원재료적인 측면에서의 고려가 필요하다. 기능적인 설계 요소는 제품의 생산과 조립 방식, 후가공을 고려해야 하며 내용물의 특성에 따라 포장재와 상관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재료를 선정해야 한다. 그 외에도 사용하기 편리하고 경제적이며 작업성이 좋고 환경 안전/보호성을 갖출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한다.
'화장품이야기 > 화장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라스틱(합성 수지) 재료 (0) | 2022.07.07 |
---|---|
플라스틱 종류 및 특징 (0) | 2022.07.05 |
화장품 포장재 개요 (0) | 2022.07.04 |
유지 관리 (0) | 2022.06.23 |
작업소의 위생 (0) | 2022.06.23 |
댓글